본문 바로가기
오늘의뉴스

who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by 자칭 2020. 3. 16.

코로나19 팬데믹에 '특정 나라' 언급 이유…'구분 의미無'

https://dailyfeed.kr/6796422/158428547672

 

코로나19 팬데믹에 '특정 나라' 언급 이유…'구분 의미無'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 따라 정부의 대응도 달라진 모양새다. 이 가운데 다시 정부가 중국

dailyfeed.kr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 따라 정부의 대응도 달라진 모양새다.

이 가운데 다시 정부가 중국인 입국금지 목소리에 대한 반박을 내놓은 것이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대응에 대해 언급했다.

박능후 차장은 "코로나19의 전세계적인 대유행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제 특정한 나라를 구분해서 특별입국절차를 적용하는 일은 무의미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어 "전 입국자에 대한 특별입국절차를 가능한 빠르게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박능후 차장의 이 같은 발언은 코로나19 대응 초기 상황에서 중국인 입국금지 목소리에 대해 회의적인 의견을 개진한 것과 맞물려 있다는 평도 나오고 있다. 

국내에서는 코로나19에 따른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팽배해진 상황에서도 정부는 특정한 국가, 중국에 대한 입국금지 조치 실효성에 물음표를 보낸 바가 있다.

대신 정부는 앞서 지난달 4일부터 입국금지가 아닌 중국에 대한 특별입국절차를 시작하면서 방역망을 강화한 바 있다.

 

한국발 입국제한 138곳…팬데믹 공포 속 외국인에 '묻지마 봉쇄'

https://dailyfeed.kr/6796422/158428555037

 

한국발 입국제한 138곳…팬데믹 공포 속 외국인에 '묻지마 봉쇄'(종합2보)

노르웨이·폴란드·라트비아·에콰도르 등 문 닫아…유럽도 '빗장' 명시적 입국금지 71곳·격리

dailyfeed.kr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의 시대로 들어가면서 한국인의 입국을 제한하는 국가가 계속 늘고 있다.

특히 그동안에는 한국과 중국, 이탈리아 등 발병국에 대해서만 문을 걸어 잠갔다면 이제는 모든 외국인의 입국을 봉쇄하는 나라들이 증가하고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15일 오후 10시 기준 한국으로부터 입국을 막거나 입국절차를 강화한 곳은 총 138개 국가·지역으로 전날보다 6곳이 늘었다.

폴란드와 발트해 연안국인 라트비아가 입국금지국으로 새로 이름을 올렸고, 노르웨이와 에콰도르, 에스토니아 등은 당초 의무적 자가격리국이었지만 입국금지로 규제를 강화했다.

이들 5개 나라는 모두 한국인뿐 아니라 모든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또 시설에 격리했던 스리랑카도 한국과 이탈리아, 이란 국적자에 대해 2주간 입국을 금지하고 기존 비자의 효력도 중단했으며,

파푸아뉴기니는 한국과 중국, 일본 등을 방문한 내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했고, 자가격리만 했던 북마케도니아도 한국 등을 방문한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노르웨이의 조치는 강경화 장관이 지난 13일 쇠레이데 외무부 장관과 통화하고 필수적 인적교류에는 차질이 없도록 협조를 요청한 직후에 이뤄졌다.

이로써 아예 입국을 막거나 한국을 떠난 지 일정 기간이 지나야 입국을 허용하는 등 명시적 입국금지를 하는 국가·지역은 전날보다 8곳이나 증가해 전체 입국제한국의 과반인 71곳에 이르렀다.

한국발 여행객에 대해 격리조치를 하는 지역·국가는 중국을 포함해 17곳이다.

중국은 22개 지방정부(성·시·자치구)에서 한국발 입국자를 격리하고 있다.

검역을 강화하거나 자가격리를 권고하는 등 낮은 수위의 조처를 하는 국가는 50곳이다.

에스토니아와 우루과이, 칠레 등이 한국 등을 방문한 내외국인에 대해 14일 자가격리 조처에 들어갔다.

세계 각국의 한국발 입국자에 대한 구체적인 조치 사항은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홈페이지(www.0404.go.kr/dev/newest_list.mofa)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댓글